=.부처님의 십사무기(無記)의 설법과 깨달음!


1.지금까지 알고 있는 불교에서는 부처님은 그 어떤 경우에도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신 점을 들어 부처님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에 대해 관심이 없으셨거나 아니면 무지했다고 여기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신분질서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혁신적이면서도 현실적이고 또 그것을 이론이나 깨달음의 차원이 아닌 실천적으로 적용하고 일평생 행동하셨던 분이시기에 더욱 그러하셨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특히 논리 연구가나 철학자들 역시 그렇게 이해하고 논하여 온 부분이 적지 않다.

2.「전유경(箭喩經, Cūlamālunkya-sutta)」에 부처님이 설하신 내용을 보면 형이상학적 물음을 궁구하는 이들에 대해 비유하여 말씀하시기를 마치 화살을 맞고 죽어 가고 있는 사람이 있는데 치료할 생각은 하지 않고 되려 그 화살이 어떤 화살인지 어느 방향에서 날아왔는지 누가 쏘았는지 알고 싶어하는 바보와 같은 사람으로 비유하셨다.
화살을 맞은 사람은 자신의 어리석은 의문에 답을 얻기도 전에 목숨이 다하고 말 것이다. 고로 다양한 선택 중 어떤 것을 우선하여 선택해 해결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지혜를 설하시는 것으로 답을 대신하셨다.
이의 예를 두고 부처님은 형이상학적인 문제에 대해서 답을 하지 않은 분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불교의 현상이다.

3.부처님 당시 사회의 풍토에는 형이상학적 소재에 대한 의제가 많았고 특히 수행풍토에 형이상학적인 물음에 누가 깨달음이 있는 답을 제시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많은 흐름이 있었고 또 이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았다. 그리고 자신의 주의주장만이 진리요 옳다며 다른 주의주장을 배척하고 이단시하며 논쟁하는 시대였다.

4.부처님은 이와 같은 시대 상황 속에서 형이상학적인 물음에 대하여 금지하지도 않으셨고 부정하지도 않으셨고 그렇다 하여 권장하거나 긍정하지도 않으시고 침묵으로 일관하셨다.

5.당시 밧차고따(Vacchagotta)가 부처님과 그의 제자들에게 형이상학적인 질문을 하였는데 그 질문이 총 14가지 질문이었고 그것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셨기에 그 사건을 두고 십사무기(十四無記, 難問)라고 한다. 이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해서도 오해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오늘날의 불교 모습이다.

6.형이상학적 질문의 항목은 네 가지이고 그 항목의 절대적 존재양태에 대한 진실에 대한 형이상학적 질문은 14가지이다.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세계는 영원한가, 아닌가, 양자(兩者: 영원하면서 영원하지 않는 것)인가, 양자가 아닌가?
둘째, 세계는 (공간적으로) 유한(有限)한가, 무한(無限)한가, 양자인가, 양자가 아닌가?
셋째, 여래(如來)는 사후(死後)에 존재하는가, 아닌가, 양자인가, 양자가 아닌가?
넷째, 영혼은 육체와 동일한가, 아니면 다른가?

7.다시 일목요연하게 14 가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한 것인가?
2)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하지 않은 것인가?
3)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하면서 무상한 것인가?
4)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하지도 않으면서 무상하지 않은 것인가?
5) 우주는 (공간적으로) 유한한 것인가?
6) 우주는 (공간적으로) 무한한 것인가?
7) 우주는 (공간적으로) 유한하면서 무한한 것인가?
8) 우주는 (공간적으로) 유한하지 않으면서 무한하지도 않은 것인가?
9) 여래는 사후에도 존재하는가?
10)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는가?
12)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지 않지도 않은가?
13) 자아와 신체는 같은가?
14) 자아와 신체는 다른가?

8.성불한 부처님이라면 또 누군가 깨달았다면 그 깨달은 부처님은 위의 14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명명백백 명료히 여실히 깨달은 상태여야 한다. 단지 그것을 언사로 표현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그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지의 여부는 자신의 자유이다.

9.부처님께서 표현방식의 선택의 자유에 있어서 언사로 표현하지 않고 무기로 표현하심을 선택하신 것이다. 깨달은 부처님이 되면 부처님께서 설하신 그 무기의 뜻을 명명백백 명료히 여실히 알게 되고 그 지혜를 회복하여 지니게 된다.

10.부처님께서는 여느 사상가나 철학자 혹은 수행정진자 내지 깨달았다 하는 성자들과 달리 진리의 실재적 존재를 인식하는 것은 그때 당시의 문명과 논리 그리고 과학발달 상황을 고려하여 어떤 형태의 언사로 표현되면 근기에 의한 격차가 크고 그 오류 역시 지대할 것임을 여실히 알고 계셨다. 그리하여 무기의 법문형태를 선택하사 깨달은 사람만 오류 없이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 알아볼 수 있도록 법을 설하심을 선택하시고 이로써 법맥을 들어 보이신 것이다.

11.부처님께서 밧차고따가 질문하는 14 질문에 대해 무기의 침묵의 답을 하자 이를 듣고 그가 자리를 뜨고 난 후 아난에게 부처님의 견해를 말씀하셨다.

12.아난다여, 그 유랑자(밧차고따)가 자아가 있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만약 내가 자아는 있다라고 대답했다면 아난이여! 상주론자(常主論者)인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의 편에 서는 것이 된다. 아난이여! 그렇다고 만일 자아는 존재하지 않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면 그것은 아난이여! 단멸론자((斷滅論者)인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의 편에 서는 것이 된다. 게다가 아난이여! 그 유랑자가 자아는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내가 있다고 대답했다면 나의 대답이 모든 것은 무상하다는 지혜와 일치하겠느냐?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또 아난이여! 유랑자 밧차고따가 자아는 존재하지 않습니까? 라고 물었을 때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면 그것은 당혹해 하는 밧차고따를 더욱 당혹하게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전에 나는 확실히 자아를 갖고 있었는데 지금은 전혀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다 라고 말할 것이기 때문이다.

13.부처님께서 만약 밧차고따의 질문에 그렇다거나 아니라고 하셨다면 어떤 하나의 편에 기운 것이 될 수밖에 없다. 부처님은 평소 독단론의 과오를 크게 경계하셨는데 이를 일관하여 중도의 입장에서의 무기 내지 중도의 형식을 선택하신 것이다.

14.중도란 이것과 저것의 둘 사이 즉 중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둘을 포함하되 시비의 상으로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상위차원의 소소영영 여실한 지혜 자리인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이의 자리를 열반이라고 설하셨다. 무기의 대답은 곧 여기에 있다. 이것의 진실을 깨닫는 것이 진제이다.

15.석가모니부처님 당시 사회에 이제설((二諦論, Satyadvaya)이 있었다.
이제설(二諦論 : Satyadvaya)은 진제(眞諦, Paramārtha-satya)와 속제(俗諦, Saṃvṛti-satya)의 둘이다. 세속의 이치를 부처님의 지혜로 비추어 설한 모든 말씀의 가르침은 속제이다. 진제는 오직 침묵의 가르침으로 전하셨다.

16.부처님 가르침의 속제도 역사상의 다양한 전개와 가감첨삭으로 이견이 분분하다. 진제에 대해서는 속제와 비교해 비교적 이론이 분분한 정도가 경미한 정도이지만 오해가 일어날 정도로 이견은 명료히 존재하고 있다.

17.진제를 설하다보면 속제 형식이 되는 수가 있다. 즉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는 방편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진제는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바의 달 그 자체의 진실을 의미한다. 속제는 반드시 달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하등하거나 혹은 열등한 것이거나 하근기적인 것이나 오류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진제는 아니다. 그렇다면 진제는 무엇인가? 당연히 손각락이 가르치는 달 그 자체이다.

18.누군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속제를 깨닫고 드디어 부처님께서 설하신 십사무기에 대한 침묵의 답변에 대한 진실을 깨치면 그것이 진제인 것이다.

-법문글 중-

=.부처님의 십사무기(無記)의 설법과 깨달음!


1.지금까지 알고 있는 불교에서는 부처님은 그 어떤 경우에도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신 점을 들어 부처님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에 대해 관심이 없으셨거나 아니면 무지했다고 여기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신분질서에 대한 인식을 비롯하여 혁신적이면서도 현실적이고 또 그것을 이론이나 깨달음의 차원이 아닌 실천적으로 적용하고 일평생 행동하셨던 분이시기에 더욱 그러하셨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특히 논리 연구가나 철학자들 역시 그렇게 이해하고 논하여 온 부분이 적지 않다.

2.「전유경(箭喩經, Cūlamālunkya-sutta)」에 부처님이 설하신 내용을 보면 형이상학적 물음을 궁구하는 이들에 대해 비유하여 말씀하시기를 마치 화살을 맞고 죽어 가고 있는 사람이 있는데 치료할 생각은 하지 않고 되려 그 화살이 어떤 화살인지 어느 방향에서 날아왔는지 누가 쏘았는지 알고 싶어하는 바보와 같은 사람으로 비유하셨다.
화살을 맞은 사람은 자신의 어리석은 의문에 답을 얻기도 전에 목숨이 다하고 말 것이다. 고로 다양한 선택 중 어떤 것을 우선하여 선택해 해결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지혜를 설하시는 것으로 답을 대신하셨다.
이의 예를 두고 부처님은 형이상학적인 문제에 대해서 답을 하지 않은 분으로 오해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불교의 현상이다.

3.부처님 당시 사회의 풍토에는 형이상학적 소재에 대한 의제가 많았고 특히 수행풍토에 형이상학적인 물음에 누가 깨달음이 있는 답을 제시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많은 흐름이 있었고 또 이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았다. 그리고 자신의 주의주장만이 진리요 옳다며 다른 주의주장을 배척하고 이단시하며 논쟁하는 시대였다.

4.부처님은 이와 같은 시대 상황 속에서 형이상학적인 물음에 대하여 금지하지도 않으셨고 부정하지도 않으셨고 그렇다 하여 권장하거나 긍정하지도 않으시고 침묵으로 일관하셨다.

5.당시 밧차고따(Vacchagotta)가 부처님과 그의 제자들에게 형이상학적인 질문을 하였는데 그 질문이 총 14가지 질문이었고 그것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셨기에 그 사건을 두고 십사무기(十四無記, 難問)라고 한다. 이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해서도 오해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오늘날의 불교 모습이다.

6.형이상학적 질문의 항목은 네 가지이고 그 항목의 절대적 존재양태에 대한 진실에 대한 형이상학적 질문은 14가지이다.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세계는 영원한가, 아닌가, 양자(兩者: 영원하면서 영원하지 않는 것)인가, 양자가 아닌가?
둘째, 세계는 (공간적으로) 유한(有限)한가, 무한(無限)한가, 양자인가, 양자가 아닌가?
셋째, 여래(如來)는 사후(死後)에 존재하는가, 아닌가, 양자인가, 양자가 아닌가?
넷째, 영혼은 육체와 동일한가, 아니면 다른가?

7.다시 일목요연하게 14 가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한 것인가?
2)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하지 않은 것인가?
3)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하면서 무상한 것인가?
4) 우주는 (시간적으로) 영원하지도 않으면서 무상하지 않은 것인가?
5) 우주는 (공간적으로) 유한한 것인가?
6) 우주는 (공간적으로) 무한한 것인가?
7) 우주는 (공간적으로) 유한하면서 무한한 것인가?
8) 우주는 (공간적으로) 유한하지 않으면서 무한하지도 않은 것인가?
9) 여래는 사후에도 존재하는가?
10)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는가?
12)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지 않지도 않은가?
13) 자아와 신체는 같은가?
14) 자아와 신체는 다른가?

8.성불한 부처님이라면 또 누군가 깨달았다면 그 깨달은 부처님은 위의 14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명명백백 명료히 여실히 깨달은 상태여야 한다. 단지 그것을 언사로 표현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그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지의 여부는 자신의 자유이다.

9.부처님께서 표현방식의 선택의 자유에 있어서 언사로 표현하지 않고 무기로 표현하심을 선택하신 것이다. 깨달은 부처님이 되면 부처님께서 설하신 그 무기의 뜻을 명명백백 명료히 여실히 알게 되고 그 지혜를 회복하여 지니게 된다.

10.부처님께서는 여느 사상가나 철학자 혹은 수행정진자 내지 깨달았다 하는 성자들과 달리 진리의 실재적 존재를 인식하는 것은 그때 당시의 문명과 논리 그리고 과학발달 상황을 고려하여 어떤 형태의 언사로 표현되면 근기에 의한 격차가 크고 그 오류 역시 지대할 것임을 여실히 알고 계셨다. 그리하여 무기의 법문형태를 선택하사 깨달은 사람만 오류 없이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 알아볼 수 있도록 법을 설하심을 선택하시고 이로써 법맥을 들어 보이신 것이다.

11.부처님께서 밧차고따가 질문하는 14 질문에 대해 무기의 침묵의 답을 하자 이를 듣고 그가 자리를 뜨고 난 후 아난에게 부처님의 견해를 말씀하셨다.

12.아난다여, 그 유랑자(밧차고따)가 자아가 있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만약 내가 자아는 있다라고 대답했다면 아난이여! 상주론자(常主論者)인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의 편에 서는 것이 된다. 아난이여! 그렇다고 만일 자아는 존재하지 않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면 그것은 아난이여! 단멸론자((斷滅論者)인 수행자들이나 바라문들의 편에 서는 것이 된다. 게다가 아난이여! 그 유랑자가 자아는 어디에 있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내가 있다고 대답했다면 나의 대답이 모든 것은 무상하다는 지혜와 일치하겠느냐?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또 아난이여! 유랑자 밧차고따가 자아는 존재하지 않습니까? 라고 물었을 때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면 그것은 당혹해 하는 밧차고따를 더욱 당혹하게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전에 나는 확실히 자아를 갖고 있었는데 지금은 전혀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다 라고 말할 것이기 때문이다.

13.부처님께서 만약 밧차고따의 질문에 그렇다거나 아니라고 하셨다면 어떤 하나의 편에 기운 것이 될 수밖에 없다. 부처님은 평소 독단론의 과오를 크게 경계하셨는데 이를 일관하여 중도의 입장에서의 무기 내지 중도의 형식을 선택하신 것이다.

14.중도란 이것과 저것의 둘 사이 즉 중간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둘을 포함하되 시비의 상으로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상위차원의 소소영영 여실한 지혜 자리인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이의 자리를 열반이라고 설하셨다. 무기의 대답은 곧 여기에 있다. 이것의 진실을 깨닫는 것이 진제이다.

15.석가모니부처님 당시 사회에 이제설((二諦論, Satyadvaya)이 있었다.
이제설(二諦論 : Satyadvaya)은 진제(眞諦, Paramārtha-satya)와 속제(俗諦, Saṃvṛti-satya)의 둘이다. 세속의 이치를 부처님의 지혜로 비추어 설한 모든 말씀의 가르침은 속제이다. 진제는 오직 침묵의 가르침으로 전하셨다.

16.부처님 가르침의 속제도 역사상의 다양한 전개와 가감첨삭으로 이견이 분분하다. 진제에 대해서는 속제와 비교해 비교적 이론이 분분한 정도가 경미한 정도이지만 오해가 일어날 정도로 이견은 명료히 존재하고 있다.

17.진제를 설하다보면 속제 형식이 되는 수가 있다. 즉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는 방편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진제는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바의 달 그 자체의 진실을 의미한다. 속제는 반드시 달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하등하거나 혹은 열등한 것이거나 하근기적인 것이나 오류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진제는 아니다. 그렇다면 진제는 무엇인가? 당연히 손각락이 가르치는 달 그 자체이다.

18.누군가 부처님께서 설하신 속제를 깨닫고 드디어 부처님께서 설하신 십사무기에 대한 침묵의 답변에 대한 진실을 깨치면 그것이 진제인 것이다.

-법문글 중-





서울 성북구 보국문로 94 종무소(3층)) 선원(4층)

전화 : 02-912-1050팩스 : 02-912-1051

E-mail : muhanzen@naver.comUrl : muhanzen.org

미륵정토사 & 초무한참나선원

Copyright(c) 1999-2021 All rights reserved.